
전문가들이 내놓은 대안은
서울대 이봉주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어린이집이 말로는 전업주부와 맞벌이부부 아이에 차등을 안 둔다고 하지만 (맞벌이 아이들 보육에) 시간이 길어지고 보육교사의 노동량이 늘어나게 돼 맞벌이부부 아이들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맞벌이부부 아이에게 지원이 더 가게 해서 어린이집이 기피하지 않게 하자고 제안한다. 3시간 맡기나 12시간 맡기나 동일한 보조금이 지원되는 방식을 뜯어고치자는 것이다. 부산여대 김두범 아동복지보육과 교수는 “80%의 어린이집이 보육교사 초과근무수당을 주지 않아 오후에 아이들을 제대로 돌볼 수 없다”며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오후 4시 이전까지는 같은 금액을 지원하되 이후 시간에 더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차등 지원이 없다 보니 전업주부들이 필요 이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육아정책연구소 서문희 선임연구위원은 “전업주부 아이 지원금을 줄일 경우 반발이 심할 수 있어 그건 그대로 두고 정부가 돈을 더 얹어 맞벌이부부에게 가게 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창원대 최혜영 가족복지학과 교수는 “일터 밖에서 힘들게 어린이집을 구해야 하는 엄마들을 위해 작은 회사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별취재팀=신성식 선임기자, 이지영·고성표·장주영·강나현 기자
관련기사
▶ "애 데려가라" 맞벌이,오후 3~6시가 두렵다
▶ 어린이집, 맞벌이 자녀 기피…"40곳서 거절당했다"
▶ "옷 다 입고 혼자 기다리는 딸 보면 죄인된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