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 투표층 갈수록 늘어 81%대
다른 기관 조사에서도 투표일이 가까워질수록 ‘적극 투표층’은 증가하고 있다. KBS-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도 안씨 사퇴 직후인 11월 25일(1000명) 80.6%이던 적극 투표층이 12월 6일(1500명)엔 81.8%로 집계됐다.
역대 대선의 실제 투표율은 선거일 D-9일께 실시한 투표참여 의향조사에 비해 5.0~9.7%포인트가량 떨어지곤 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02년 12월 9~10일 실시한 참여의향 조사(1500명)에서는 ‘반드시 투표할 것’이란 응답자는 80.5%였지만 실제 투표율은 70.8%를 기록했다. 2007년 대선 땐 12월 9일 조사(1500명)에서 적극 투표층이 67.0%였지만 실제 투표율은 63.0%였다. 이 같은 결과를 감안할 때 올해 대선 투표율이 적어도 2002년 수준인 70% 안팎까지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평균 투표율이 단순히 70% 선을 넘기느냐 못 넘기느냐보다 보수·진보 후보의 세대별 지지층인 5060세대와 2030세대가 각각 얼마나 더 많이 투표하러 가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중앙일보 6~8일 조사에서 적극 투표층(81.0%)을 세대별로 뜯어보면 20대(68.9%), 30대(74.9%)보다 50대(87.6%), 60대 이상(91.0%)이 13~22%포인트까지 높은 참여의사를 보였다. KBS-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선 세대별 적극 투표층의 격차가 더 컸다. 20대(68.3%), 30대(76.3%), 50대(91.6%), 60대 이상(93.1%)으로, 50대 이상에선 90% 이상이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했다.
[관계기사]
▶ 안철수 "다음 정부에서는 어떤 임명직도 맡지 않겠다"
▶ 안철수 지원 뒤에도 박·문 지지율 격차 그대로
▶ 달라진 40대 표심…박>문 지지율 차 0.3%P→6.5%P
▶ 박, 대통령 직속기구 공약…문, 국민정당 창당 승부수
▶ 오늘 2차 TV토론…이정희 측 "자극적 표현 순화하겠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