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보·죽산보 해체, 공주보 부분해체…시기는 미정 유료
... 해체하는 내용이 포함된 '금강·영산강보 처리방안'을 의결했다. 사진은 이날 전남 나주시 다시면 죽산보의 모습. [연합뉴스]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가 금강·영산강의 5개 보 가운데 세종보와 죽산보는 해체하고 공주보는 부분 해체하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다만 해체 시기는 정하지 않았다. 백제보와 승촌보는 상시 개방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실제 해체 시기는 지자체 등과의 ... -
[단독] 보 철거하면 97억 들여 지하수 취수시설 또 만든다는 세종시 유료
세종시가 세종보(洑)가 철거될 경우 금강 밑을 흐르는 지하수(복류수)까지 채취해 쓰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 최대 규모의 인공 호수인 세종호수공원(담수 면적 32만㎡)과 국립세종수목원, 세종시 시내를 흐르는 하천인 방축·제천(금강 지류) 등에 공급할 용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집중호우때 유실된 세종시 금강에 설치된 자갈보. 지난해에 이어 ... -
“멀쩡한 세종보 두고 뭐하나…” 임시 자갈보 또 유실 유료
세종보 상류에 설치한 자갈보는 최근 집중호우로 또 유실됐다. 사진은 지난해 모습. [중앙포토] 정부가 금강 세종보(洑) 개방 이후 용수확보를 위해 만든 자갈보(둑)가 최근 집중호우로 일부 유실됐다. 지난해 7월과 8월 두 차례 유실된 데 이어 2년째 되풀이되고 있는 현상이다. 22일 오전 세종보에서 상류 쪽으로 상류 5㎞ 지점에 있는 자갈보를 찾았다. 길이 ... -
민주당 장악 세종시의회도 “보 해체 신중해야” 유료
세종시를 흐르는 금강에 설치한 세종보. 2017년 11월 보를 개방한 이후 강에 물이 마르고 주변에는 잡물만 무성하다. 프리랜서 김성태 금강과 영산강 보(洑)주변 지방의회와 지자체에서 보 해체를 반대하거나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세종시의회 서금택 의장은 15일 입장문을 내고 “세종보 존치와 해체라는 찬반양론이 맞서고 있다”며 “이럴 ... -
[사진] “4대강 보 해체 반대” 서울역 집회 유료
'4대강 보 해체 반대“ 서울역 집회 '4대강보해체저지 범국민연합'은 2일 서울역 광장에서 '4대강 보해체저지 제1차 범국민대회'를 가졌다. 이날 집회에서는 환경부 조사· 평가기획위원회가 밝힌 금강 세종보·공주보, 영산강 죽산보 해체 권고안 결정을 규탄했다. [뉴스1] -
환경부 “보 해체 확정 안돼, 상반기 중 추가 모니터링” 유료
지난 19일 세종시 한솔동 주민자치센터에서 환경부 주최로 열린 세종보 처리방안 공청회에서 참석자들이 김승희 금강유역환경청장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금강과 영산강의 5개 보 처리 방안이 졸속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이 쏟아지자 환경부가 "보 해체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며 추가 모니터링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겠다고 밝혔다. 홍정기 환경부 4대강 자연성회복을 ... -
“농사 물그릇 깨면서 농민 말은 왜 안 듣나” 유료
... 대비” “시궁창 냄새 어쩌나” “보 당장 없애는 건 성급…10년 빅데이터 모아야” 환경부 “보 해체 확정 안돼, 상반기 중 추가 모니터링” 환경부가 금강·영산강 5개 보 중 금강 세종보와 공주보, 영산강 죽산보는 해체하는 게 바람직하고,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승촌보는 수문을 상시 개방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을 제시하자 각 보 인근 주민들은 즉각 찬반이 갈렸다. ━ 부실한 ... -
“농사 물그릇 깨면서 농민 말은 왜 안 듣나” 유료
... 대비” “시궁창 냄새 어쩌나” “보 당장 없애는 건 성급…10년 빅데이터 모아야” 환경부 “보 해체 확정 안돼, 상반기 중 추가 모니터링” 환경부가 금강·영산강 5개 보 중 금강 세종보와 공주보, 영산강 죽산보는 해체하는 게 바람직하고,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승촌보는 수문을 상시 개방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을 제시하자 각 보 인근 주민들은 즉각 찬반이 갈렸다. ━ 부실한 ... -
수질·경제성 다 의문인데 석달 만에 보 해체 결론 유료
... 감소, 유속 증가 ▶수변공간 면적 증가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수문을 개방하면 당연히 개선되는 항목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바람에 평균적으로는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다. 금강 세종보의 경우 녹조 발생빈도 등급은 1.1에서 수문 개방 후 1.2로 악화했다. 녹조가 더 자주 발생했다는 의미다. 다만 ▶엽록소a 감소 ▶COD 감소 ▶저층의 산소 부족 사례 감소 등 다른 항목이 개선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