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재로고

    권력자의 '선한 의도' 누군가에겐 압제와 폭력

    ━ 국가란 무엇인가 ■ 등장인물·이론 「 사울 사울 재위 BC 1037~1010년. 선지자 사무엘이 세운 유대 왕국의 첫 번째 왕. 양치기 소년이던 다윗이 전쟁에서 승리 후 사람들의 존경을 얻자 암살을 기도했지만 실패했다. 사무엘과 틀어진 후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해 자살한다. 다윗 다윗 재위 BC 1010~970년. 유대 왕국의 전성기를...

    2020.07.17 00:21
  • 연재로고

    '문광 소나타'와 표현의 자유 억압, 전체주의 아른거린다

    ━ [윤석만의 인간혁명]열린사회와 그 적들 1604년 얀 산레담이 그린 '동굴의 우화'. 플라톤은 동굴에 갇힌 사람은 동굴 밖의 세계를 알 수 없다고 했다. 희미한 빛줄기를 좇아 참 세상을 볼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철인뿐이다. 어두운 동굴은 현실이며 빛나는 바깥세상은 이데아다. [사진 위키피디아] 75년 전 플라톤이 철학의 법정 앞에 섰습니다. 엘리트...

    2020.06.20 00:04
  • 연재로고

    윤미향 '친일 프레임' 소크라테스 죽게 한 궤변론과 같아

    ━ [윤석만의 인간혁명]진실의 죽음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목적을 위해 진실과 기억을 조작하는 일들이 비일비재합니다. 명백한 사실로써 중대한 잘못이 드러나더라도 사과는커녕 수치심조차 느끼지 않습니다. 오히려 비판하는 사람을 비정상으로 매도합니다. 최근 이용수 할머니가 정의기억연대의 전 이사장인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의 문제를 지적했을 때 이 할머니의 ...

    2020.05.23 11:00
  • 연재로고

    양자역학 어벤져스, 메르켈은 있고 트럼프·아베는 없는 것

    [윤석만의 인간혁명]코로나 리더십과 과학 과학계의 '어벤져스'가 모인 1927년 솔베이 회의. 참석자 29명 중 17명이 노벨상을 탔다. 앞줄 왼쪽 두번째부터 막스 플랑크와 마리 퀴리, 헨드릭 로렌츠, 알버트 아인슈타인. 둘째줄 맨 오른쪽은 닐스 보어, 셋째줄 오른쪽에서 세번째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다. [위키피디아] ■ 등장인물·이론 「 알버트 아...

    2020.04.24 00:21
  • 연재로고

    한국 보수가 사랑한 '자유'···그들이 외친 '자유'는 따로 있었다

    ━ [윤석만의 인간혁명]자유주의란 무엇인가 1960년 4·19 혁명 당시 경찰이 시위대를 진압하고 있다. 4월 19일부터는 교수와 직장인까지 시위에 참여했다. [사진제공=국가기록원] 어제 보수의 핵심 가치는 자유주의라고 설명했다. 미래통합당의 직전 당명이 자유한국당이었고, 이승만 대통령이 만든 자유당부터 1990년 노태우·김영삼·김종필이 3당 합당해 ...

    2020.04.19 09:0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