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기억이 통제된 미래 세상. 언뜻 보면 유토피아지만 실상은 국가가 사람의 감정까지 억제하는 전체주의 사회다. [영화 더 기버]](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6316e664-bd39-415a-b2d1-789b1011d089.jpg)
과거의 기억이 통제된 미래 세상. 언뜻 보면 유토피아지만 실상은 국가가 사람의 감정까지 억제하는 전체주의 사회다. [영화 더 기버]
영화 ‘더 기버(The Giver, 기억전달자)’는 세상의 단 한 사람만 기억하고 있는 비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영화 속 미래는 전쟁과 고통, 차별과 불평등이 사라진 이상적 사회를 그립니다. 모두가 평등한 ‘커뮤니티(영화에서 국가를 부르는 명칭)’에서 평화롭고 행복한 삶을 살고 있죠. 모든 시민이 똑같이 생긴 집에서 같은 디자인의 흰색 옷을 입고 살아갑니다. 어느 인간 사회나 존재했던 폭력과 절도 등의 범죄는 전혀 일어나지 않습니다. 각자의 역할과 노동에 충실하고 생산을 통해 얻은 이익은 공평하게 나눕니다. 말 그대로 ‘유토피아’죠.
이곳에선 모든 시민이 만 16세가 되면 평생 직업을 부여받습니다. 개인의 소질과 커뮤니티에 필요한 역할을 고려해 원로위원회가 결정하죠. 주인공 조너스는 커뮤니티의 시민 중 가장 뛰어난 사람만 맡을 수 있는 ‘기억전달자’로 뽑힙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 인류의 과거를 간직하고 후대에 전해주는 역할입니다. 조너스의 가족과 친구들은 그런 그를 매우 자랑스러워합니다. 조너스 역시 설레는 마음으로 전임에게서 기억을 전수받기 시작합니다.
![영화에서 모든 시민들은 감정이 통제 당한 채 흰색 옷만 입고 살아간다. [영화 더 기버]](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1988b071-471a-4f66-90d2-ed17cd9a9d0a.jpg)
영화에서 모든 시민들은 감정이 통제 당한 채 흰색 옷만 입고 살아간다. [영화 더 기버]
그런데 조너스가 인류의 기억을 모두 되찾는 순간 놀라운 일이 벌어집니다. 흑백으로 보였던 세상이 형형색색의 ‘컬러’로 보이기 시작한 거죠. 그 동안 커뮤니티는 인간의 기억을 지워버린 후, 폭력적인 본성을 억압하기 위해 시민들에게 약물을 투입했습니다. 그 약효 때문에 인간의 폭력적인 본성은 물론 감정까지 사라지면서 세상마저 흑백으로 보이게 된 거였죠.
![[영화 더 기버]](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1b661bc5-f13a-416e-8e90-16ca84cee777.jpg)
[영화 더 기버]
![[영화 더 기버]](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bf75eadc-02de-4fcb-b98c-f50b753aa5da.jpg)
[영화 더 기버]
첫째는 내란과 전쟁, 대기근과 아노미처럼 개인은 감당할 수 없는 거대한 폭력이 존재하거나 사회 전체가 무질서로 빠져들 때입니다. 사회계약론에선 이 같은 일을 방지하기 위해 시민들은 ‘신약’을 맺어 국가에 자신의 권한을 위임한다고 했죠. 홉스는 신의 권위를 이어받은 국가가 ‘세상에 존재하는 유일한 합법적 폭력’이라며 괴물 '리바이어던'으로 묘사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합법적 폭력을 잘못된 목적과 방향으로 쓴 대표적인 사람이 히틀러입니다.

영국 철학자 토마스 홉스의 저서 '리바이어던'.
2년 후엔 37.4%의 득표율로 원내 1당이 됐고 히틀러는 총리에 올랐습니다. 1934년 대통령이 서거하자 히틀러는 본인이 총리와 대통령을 겸하는 ‘총통’이 되겠다고 국민투표를 실시했습니다. 이 때 그는 무려 88.1%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최고 권력자가 됩니다. 이후 ‘국가의 재탄생’을 슬로건으로 전체주의 독일의 시대가 열립니다. 근현대사에서 히틀러가 지배했던 독일은 국가의 힘이 가장 강력했던 시기였죠.
![1932년 4월 히틀러가 유세하고 있다. 괴벨스(히틀러 뒤편 바로 왼쪽)에 의하면 나치는 독일국민에게 어떤 것도 강요하지 않았고 독일국민이 나치를 선택했다. 그리고 독일국민은 그 대가를 치렀다. [중앙포토]](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4147d06d-fb11-4ab3-8d83-6b8922ef5ae3.jpg)
1932년 4월 히틀러가 유세하고 있다. 괴벨스(히틀러 뒤편 바로 왼쪽)에 의하면 나치는 독일국민에게 어떤 것도 강요하지 않았고 독일국민이 나치를 선택했다. 그리고 독일국민은 그 대가를 치렀다. [중앙포토]
과거 마르크스의 이론에선 위와 같은 경우 프롤레타리아(노동자 계급) 혁명을 통해 사회가 전복된다고 했습니다. 생산수단(토지, 건물, 공장 등)을 소유한 자본가와 대다수 노동자 사이의 불평등이 심해지고 자본주의 질서가 유지될 수 없을 만큼 체제의 모순이 응축됐을 때 혁명을 통해 공산주의 세상이 온다고 한 것이죠. 공산주의 사회에선 최종적으로 국가가 소멸되고 ‘인간해방’의 공동체가 건설될 것이라고 봤습니다. 물론 구소련과 동유럽의 공산주의 붕괴가 말해주는 것처럼 마르크스 이론은 실패로 끝났지만요.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한 국가 전복을 주장한 칼 마르크스. [중앙포토]](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5b722f15-095d-47a1-89d7-ca402f7d0d19.jpg)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한 국가 전복을 주장한 칼 마르크스. [중앙포토]
이 같은 전망을 내놓는 대표적인 사람이 프랑스의 세계적인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입니다. 그는 『21세기 자본』에서 “자본주의 사회를 위험에 빠트리는 가장 근본적 원인은 불평등의 심화”라고 지적했습니다. 그의 이론에서 자본주의의 지속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자연스럽게 양극화 해소로 귀결됩니다.
![프랑스의 세계적인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 [중앙포토]](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42f1b565-50ce-405a-b038-db70284202a3.jpg)
프랑스의 세계적인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 [중앙포토]
그 해법으로 피케티가 내놓는 것은 ‘글로벌 자산세’입니다. 전 세계 모든 국가가 연대해 부동산과 주식 같은 자산에 고율의 세금을 물리자는 것이죠. 이는 전통적인 시장주의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마르크스만큼이나 급진적인 주장입니다. 또 이를 실현하기 위해선 필연적으로 강력한 국가를 전제할 수밖에 없습니다.

'21세기 자본', 토마 피케티 지음.
그러면서 그가 내놓은 해법은 ‘마르크스·레닌주의(ML)’의 부활입니다. 물론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ML은 기본 이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구소련의 붕괴와 함께 중국이 개혁·개방 노선을 추구한 이후에 최고 지도자가 ML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100년 전, 10월 혁명의 첫 포성과 함께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중국에 전파됐다“는 시진핑 주석의 어록이 전시된 중국의 한 전시관. [중앙포토]](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dee1fed0-8a18-48f3-9c13-22e36a460979.jpg)
’100년 전, 10월 혁명의 첫 포성과 함께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중국에 전파됐다“는 시진핑 주석의 어록이 전시된 중국의 한 전시관. [중앙포토]
러시아의 ‘차르’ 푸틴 대통령 역시 힘센 국가를 표방하며 국가주의를 강화하고 있죠. 2018년 3월 압도적 지지율(76%)로 4선에 성공한 그는 러시아의 철권 통치자였던 스탈린 이후 가장 오랜 시간을 집권한 인물이 됐습니다. 2014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크림반도를 병합하는 등 강력한 지도자로 자리매김한 그는 앞으로도 ‘힘의 논리’를 바탕으로 러시아의 국가주의를 강화할 전망입니다.
![2017년 6월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중앙포토]](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d6975fab-c6e0-45e4-9caf-e8d9ce715e71.jpg)
2017년 6월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중앙포토]
저는 그 해답이 우리 안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누가 나서서 대신 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니라 국민 개개인이 성숙하고 지혜로운 시민으로 ‘업그레이드’ 돼야만 이 같은 일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죠.
앞서 살펴봤던 히틀러와 당시 독일인들이 반면교사로서 가장 적합한 예입니다.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오점을 남긴 히틀러는 독일 국민의 압도적 지지로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집권 과정에서 폭력이 있었거나 혁명을 일으킨 것도 아니었죠. 히틀러는 민주주의 꽃이라 불리는 선거와 투표를 통해 최고 지도자가 됐습니다.
![미국 시사지 타임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2015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 타임은 선정 이유로 난민·테러리즘에 대한 적극적 대처를 꼽았다. [타임]](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09/9fa642e0-5d9c-4e37-92fc-059ca538585d.jpg)
미국 시사지 타임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2015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 타임은 선정 이유로 난민·테러리즘에 대한 적극적 대처를 꼽았다. [타임]
민주시민을 키우는 교육은 70, 80년대 통일교육으로, 동서독 통일 이후엔 다문화교육으로 발전하며 현대 독일을 유럽 최고의 나라로 성장시켰습니다. 전범국가로서 과오를 반성하고 최고 지도자들이 이웃 나라에 지속적으로 사과할 수 있는 성찰적 리더십은 이런 높은 시민의식이 밑바탕 됐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시리아 난민 사태 때 가장 먼저 문제 해결에 발 벗고 나선 것도 독일이었죠.

유토피아와 전체주의는 한 끗 차이입니다. 바로 성숙하고 깨어있는 시민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천국과 지옥이 엇갈릴 수 있습니다. 오늘 인간혁명은 국가주의의 부활을 막을 수 있는 가장 근본적 해결책으로 ‘시민’을 제시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시민의 무엇이 있어야 하고, 이를 키우기 위해선 어떤 노력들이 필요할까요. 자세한 내용은 다음 회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윤석만 기자 sam@joongang.co.kr
#'윤석만의 인간혁명‘은 매주 일요일 아침 업데이트 됩니다.
#홈페이지(http://news.joins.com/issueseries/1014)

